슬기로운 운전 생활

학과시험 변천사
내 손으로 만드는
운전면허 학과시험

운전면허 취득을 위한 첫 번째 관문 학과시험. 그동안 학과시험이 어떻게 변모해 왔고, 또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보자.

글. 한국도로교통공단 운전면허본부 면허시험처

학과시험의 역사

현재 운전면허 학과시험은 전국 27개 운전면허시험장과 7개 운전면허센터에서 컴퓨터로 치르고 시험 종료와 동시에 결과 확인이 가능하다. 가끔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생애 처음으로 운전면허 취득을 준비하는 자녀를 위해 부모님이 “입장 가능한 시간이 언제냐”, “합격 발표는 얼마나 걸리냐” 등을 물어보시는데, 아마도 그분들은 지금처럼 학과시험이 컴퓨터화되기 이전에 운전면허를 취득한 분들일 것이다.

지금과 같은 컴퓨터 학과시험은 2002년 서울 서부운전면허시험장을 시작으로 순차 확대하여 2010년에 이르러 전국에서 시행하고 있다. 본인확인 절차를끝낸 응시자는 학과시험장에 빈자리가 있으면 입장해서 터치 스크린 컴퓨터로 시험을 치며 종료 후 합격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2010년 이전에는 응시자들이 정해진 시간에 한꺼번에 입장해서 종이 문제지와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OMR카드 답안지를 작성했다. 시험 종료 후 문제지와 답안지를 제출하고 채점하는 동안의 긴장되고 초조한 시간을 보내고 나면 전광판을 통해 수험번호와 점수가 발표되고, 가끔 100점 합격자가 나오면 전체 응시자로부터 박수를 받기도 했다. 요즘이야 불합격하면 바로 다음날 재응시가 가능하지만, 운전면허 수요가 급증했던 1980년대에는 학과시험을 보기 위해 접수 후 몇 달 씩 기다려야 하는 건 보통이었고 학과 합격 후 기능시험에 응시할 날짜를 지금처럼 응시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시험장에서 몇 달 후로 지정해 주어야만 했던 적도 있었다.

현재 운전면허 학과시험은?

운전면허 학과시험은 총 1,800개의 문제은행 안에서 무작위로 40문제가 출제되는데, 문제은행이 한국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으니 언제든 홈페이지를 통해 내려 받을 수 있다. 또한, 영어·중국어·베트남어는 물론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 동영상 및 비문해자를 위한 읽어주는 학과시험 문제은행도 함께 공개되어 있다.

학과시험은 누가 만들까?

한국도로교통공단은 개정된 도로교통법이나 매년 변화하는 교통환경을 반영하여 1년에 2번 정기적으로 학과시험 문제은행을 개편한다. 운전면허 관련 전문가, 교수, 경찰 등으로 구성된 출제위원회를 통해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2018년부터는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유도하고 교통사고 없는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매년 『운전면허 학과시험 문제 국민 참여 공모전』을 개최하여 국민이 직접 출제하거나 교통관련 유관기관이 제안한 문제도 학과시험에 반영하고 있다.

공모전 입상자들의 소감

2024년 최우수상 수상자_ “평소 장애인 복지에 관심이 많은 한 사람으로, 장애인 운전면허 취득 관련 자료를 얻고자 홈페이지에 방문했다가 장애인 주차구역 등 제도를 사전에 알고 지켜주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공단을 칭찬하고 싶다.”

2024년 우수상 수상자_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접하고는 있지만 정확하게 잘 알지 못하는 교통 관련 내용을 문제로 내서 다른 사람들도 운전면허 시험 준비를 하면서 알게 된다면 교통에 대해 더 쉽게 이해하지 않을까? 하고 도전하게 되었다. 내가 제출한 문제가 전 국민이 응시하는 자동차운전면허 학과시험에 출제된다면 자부심을 많이 느낄 것 같아서 참여하게 되었는데 입상까지 하게 되어 너무 기쁘고 보람을 느낀다.”

2025년 학과시험 문제 국민 참여 공모전은?

더 많은 국민이 문제은행 공모로 교통안전에 기여했다는 보람과 긍지를 갖게 되기를 기대하며, 한국도로교통공단은 2025년에도 학과시험 문제 국민참여 공모전을 준비하고 있다. 공모기간은 3월~6월 정도로 예상하며, 총상금 300만 원, 교통안전 관련 모든 주제로 응모할 수 있다.

한국도로교통공단 학과시험
문제은행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