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운전 생활

알고 준비하면 든든한
국제운전면허증

해외에서 직접 운전을 계획하고 있다면 국제운전면허증 발급은 필수적인 준비 과정이다. 국제운전면허증은 국내 운전면허 정보를 국제적으로 통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한 증서로, 이를 소지하면 제네바 협약 및 비엔나 협약에 가입한 국가 등에서 합법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글. 편집실

국제운전면허증 신청하기

대한민국에서 유효한 운전면허증을 소지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국제운전면허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신청자는 전국 운전면허시험장, 경찰서 민원실, 인천·김해·제주국제공항 등 주요 공항 내 발급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다. 다만, 면허가 정지되었거나 취소된 상태, 혹은 과태료·범칙금을 미납한 경우에는 발급이 제한된다.

방문 신청 시에는 운전면허증, 여권(사본 가능), 6개월 이내 촬영한 여권용 사진 1매를 준비해야 한다. 온라인 신청은 여권용 사진 파일과 본인 인증이 필요하며, 신청 완료 후 약 3~5일 뒤 등기우편으로 수령할 수 있다. 방문 신청 시 당일 발급이 가능하고, 온라인 신청 시에는 등기우편 배송 기간이 포함된다. 발급 수수료는 9,000원이며, 온라인 신청의 경우 배송료가 추가된다.

국제운전면허증의 유효기간은 발급일로부터 1년이다. 이 기간 동안만 해외에서 운전할 수 있으며, 기간이 만료되면 자동으로 효력이 사라진다. 또한, 국제운전면허증은 현지에서 단기 체류 시에만 사용 가능하며, 입국 후 1년이 넘는 장기 체류 시에는 해당 국가의 면허를 별도로 취득해야 한다.

국제운전면허증 활용 국가

한국에서 발급한 국제운전면허증은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등 주요 국가를 포함한 제네바 협약 및 비엔나 협약 가입국에서 사용 가능하며, 대만, 베트남 등 일부 별도 협약 국가에서도 인정된다. 다만 중국 본토는 국제운전면허증을 인정하지 않아 별도의 확인이 필요하다. 미국이나 캐나다처럼 주(州)별로 인정 여부가 상이한 경우도 있어 출발 전 해당 국가의 교통당국이나 대사관을 통해 운전 가능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다.

운전 시 국제운전면허증은 반드시 국내 운전면허증 원본과 여권을 함께 소지해야 한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국제운전면허증만으로는 운전이 불가능하며,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무면허 운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국제운전면허증과 여권상 영문 이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운전면허증의 효력을 인정받지 못할 수 있으니 신청 시 꼼꼼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국제운전면허증 사용 가능 국가 등(2023.7.12. 기준)

  • 아시아태평양

    한국, 뉴질랜드, 라오스,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브루나이, 스리랑카,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일본, 캄보디아, 키르기즈스탄, 태국, 파푸아뉴기니, 피지, 필리핀, 홍콩, 마카오 (협·약정체결 : 대만, 베트남)

  • 미주

    과테말라, 도미니카공화국, 미합중국, 바베이도스,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아이티, 에콰도르, 자메이카, 칠레, 캐나다, 쿠바, 트리니다드토바고, 파라과이, 페루

  • 유럽

    교황청,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몬테네그로, 몰타, 벨기에, 불가리아, 사이프러스,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알바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조지아, 체코, 크로아티아, 튀르키예,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에스토니아

  • 중동 아프리카

    가나,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니제르, 레바논, 레소토,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로코, 베냉, 보츠와나,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시리아, 시에라리온,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요르단, 우간다, 이스라엘, 이집트,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짐바브웨, 코트디부아르, 콩고, 콩고공화국, 토고, 튀니지

* ‘국가 등’에는 독자적 운전면허제도를 가진 지역을 포함

출국 전, 국가별 운전 유의 사항 확인은 필수!

도로교통법 및 도로 상황은 국가마다 다를 수 있어, 출국 전 미리 유의 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주요 국가의 운전 유의 사항은 한국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정보는 각국 대사관, 해당국 운전면허 관련기관 등에 문의할 수 있다.

국외 운전 시 주의사항 제네바협약 주요 가입국 안전운전 유의 사항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