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보고서

안전한 오늘이 미래를 만든다

우리나라 교통안전 현황

교통기술 발전과 함께 미래 교통안전을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안전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것은 도로 이용자들의 안전의식이 아닐까. 교통안전 현황을 살펴보며 미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자.

글. 편집실 출처. TAAS 교통사고분석시스템,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25.2.3.)

전체 사고는 하락세, 65세 이상 보행사망자 주의

최근 10년(2015~2024년) 교통사고 추세
연령대별 보행사망자 수 비교

전체 교통사고 및 사망자 수는 꾸준히 줄어들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고령화에 따라 고령 보행사망자의 비율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확인돼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전년 대비 사망자 수는 1.2% 감소했으며 특히 음주운전 사고, 이륜차 사고 사망자 감소율이 눈에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렌터카 사고 사망자, 65세 이상 사망자는 증가하고 있어 해당 사고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전년대비 전체 사망자 수 1.2% 감소

더 안전해진 도로, 개선점도 주목해야

국토교통부가 전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한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결과, 2024년 교통문화지수는 80.73점으로 지난해보다 0.81점 상승했다. 특히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비교적 큰 변화를 보인 항목은 ‘제한속도 준수율’, ‘운전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 ‘무단횡단 금지 준수율’로 나타났다. 운전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이나 무단횡단 금지는 많은 국민이 대체로 지키고 있는 데 반해, 제한속도 준수율은 지난해 대비 하락해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밖에도 운전자는 ‘방향지시등 점등률’, 보행자는 ‘횡단보도 신호 준수율’, ‘횡단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에서 지난해 대비 낮은 준수율을 보였다.

최근 5년(2020~2024년) 교통문화 변화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