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9일 경찰청은 “2024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521명으로 지난해(2,551명)보다 1.2% 감소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라고 밝혔다. 이는 한 해 최대 사망자 수를 기록한 1991년(13,429명)과 비교해 81.2%가 감소한 수치다.
교통사고 건수 역시 196,349건으로 지난해(198,296건)보다 1%(1,947명) 감소 했고, 교통사고 부상자 역시 지난해(283,799명)보다 1.9%(5,317명) 감소했다.
주요 분야별 교통사고 사망자를 구분해 살펴보면, 음주운전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138명으로 음주운전 방지장치 도입 등 제도개선 등에 따른 영향으로 지난해(159명)보다 13.2%(21명) 감소했다. 음주운전 사망자는 2020년(287명)과 비교해 4년 만에 절반 아래로 감소(-51.9%)한 수치다.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는 920명으로 지난해(886명)보다 3.8%(34명) 증가했는데, 이 중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은 67.0%(616명)로 지난해 62.1%(550명)에 비해 증가했고 이는 인구 고령화도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 풀이된다.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761명으로 지난해(745명)보다 2.1%(16명) 증가했다. 다만, 고령자 운전면허 소지자 증가로 고령 면허소지자 10만 명당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2024년 기준 14.7명으로 최근 5년 동안 감소 추세에 있다.
한편,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는 지난해(186명)보다 0.5%(1명) 증가에 반해, 이륜차로 인한 사망자도 361명으로 지난해(392명)보다 7.9%(31명) 감소했으며 화물차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594명으로 지난해(595명)보다 0.2% 감소했다.
지역별 증가율은 특별·광역지역에서 울산(13명, 34.2%↑), 서울(33명, 18.6%↑), 대구(10명, 13.7%↑) 순으로, 도(道) 단위 지역에서는 충남(31명, 15.3%↑), 제주(3명, 6.7%↑), 전북(3명, 1.8%↑) 순으로 증가했다.
특히, 사망자 감소율은 특별·광역지역에서는 세종(5명, 41.7%↓), 도(道) 단위 지역에서는 강원(19명, 13.6%↓)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