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은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2,551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2023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22년 2,735명보다 6.7%(184명) 감소했으며, 2021년 이후 3년 연속으로 1)3천 명 이하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
이는 우리나라 한 해 최다 사망자 수를 기록한 1991년(13,429명)과 비교해 81.0%가 감소한 것으로 38개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80% 이상 감소한 2)9개국 중 하나이다. 또한, 2013년 약 5천여 명이었던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약 10년 만인 2023년에 절반 수준인 2,551명에 도달해 역대 가장 빠른 반감기를 기록했다.
다만, 최근 5년 교통사고 사망자는 지속해서 감소했지만, 사고 건수 및 부상자 수는 코로나19 범유행 종식이 선언된 2023년에 들어 3)소폭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4)월별 사망자 수를 보면 코로나19 방역 완화 직후인 2~3월에 증가했고, 코로나19 범유행 종식이 선언된 이후 첫 피서철 시기인 8월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시간대별 사망자 수에서도 심야시간대인 0~2시에 16명(10.0%↑), 출근 시간대인 8~10시에 11명(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행 사망자는 전체적으로 47명(5.0%↓) 감소했음에도, 1~2월에는 8명(6.2%↑), 5~6월에는 26명(21.7%↑) 증가했다.
주요 분야별 교통사고 사망자는 대부분 분야에서 감소했으나, 65세 이상인 고령 운전자와 고속도로 분야에서 증가했다. 고령 운전자 분야는 6)인구구조변화(고령화)에 따른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023년 교통사고로 사망한 고령자는 1,240명으로 18명(1.4%↓) 감소했지만,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 수치(184명, 6.7%↓)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 운전자 사고는 오히려 10명(1.4%↑)이 증가했다.
전체 보행 사망자는 47명(5.0%↓) 감소한 것에 비해 고령 보행자는 8명(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로종류별로는 고속도로 사망자가 2명(1.1%↑) 증가했고, 일반국도는 1명(0.2%↓), 특별·광역시도는 45명(7.4%↓), 지방도 및 시군 도로에서는 106명(7.9%↓) 감소했다.
한편, 두 바퀴 교통수단·어린이·음주 운전 분야의 교통사고 사망자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7)두 바퀴 교통수단 사망자는 121명(20.1%↓)이 감소했으며, 이 중 8)개인형 이동장치(PM) 사망자는 2018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3년 들어 처음으로 감소(2명, 7.7%↓)했고, 교통약자인 어린이 사망자도 4명(2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음주운전 분야는 55명(25.7%↓)이 감소했다.
지역별 증가율은 특별·광역시 지역은 울산(8명, 26.7%↑), 대전(10명, 21.3%↑), 대구(7명, 10.6%↑) 순으로, 도 단위 지역에서는 전남(26명, 12.9%↑), 충북(4명, 2.6%↑), 강원(1명, 0.7%↑) 순으로 증가했다. 특히, 사망자 감소율은 특별·광역시 지역에서는 세종(5명, 29.4%↓), 도 단위 지역에서는 제주(8명, 15.1%↓)에서 큰 폭으로 감소했다.
’21년(2,916명, 5.4%↓) ’22년(2,735명, 6.2%↓) ’23년(2,551명, 6.7%↓) 에스토니아(90.2%↓), 리투아니아(88.3%↓), 아이슬란드(87.5%↓), 라트비아(85.4%↓), 스페인(84.8%↓), 슬로베니아(84.5%↓), 포르투갈(82.8%↓), 헝가리(81.1%↓) 사고 건수(196,836건→198,296건, 0.7%↑), 부상자 수(281,803명→283,799명, 0.7%↑) 1월 4명(5.3%↑), 2월 4명(7.4%↑), 5월 19명(28.8%↑), 6월 7명(13.0%↑), 11월 8명 (9.0%) 증가, 이외 모두 감소 이외 10~12시에도 4명(1.6%↑) 증가, 다른 시간대는 모두 감소 ’19년(768만) → ’20년(815만) → ’21년(856만) → ’22년(898만) → ’23년(943만) ’23년 이륜차 92명(19.0%↓)·자전거 27명(29.7%↓)·개인용 이동장치 2명(7.7%↓) 감소 ’18년(4명) ’19년(8명) ’20년(10명) ’21년(19명) ’22년(26명) ’23년(2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