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멈춤

신호등이 없는 풍경

  • 좋아요
HOME > 잠시 멈춤 > 신호등이 없는 풍경

이맘때 걷기 좋은 옛길을 찾아 경상북도 문경

처음부터 길이었던 곳은 없다. 누군가 첫발을 내디뎠고 그 이후 수많은 사람들이 그 흔적을 따라 걷고 또 걸었다. 길은 그렇게 만들어졌다. 길을 걸어간 사람들은 길섶에 나뒹구는 돌보다 많았을 것이고, 그들이 하나둘씩 흘려놓은 사연들은 울창한 나뭇잎보다 빽빽할 것이다. 경상북도 문경에 가면 숱한 사람들이 봇짐 하나에 의지한 채 길을 나섰던 옛길, 문경새재가 있다. 가을이 영그는 이맘때 걷기 좋은 길이다.

글·사진. 임수아(여행작가)

문경새재는 경사스러운 소식을 듣는 길
사연 없는 길이 있을까? 문경새재도 예외가 아니다. 얽히고 설킨 그 사연들을 길게 늘어뜨리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질 것이다. 장날에 내다 팔 물건을 잔뜩 짊어지고 고갯마루를 넘던 장돌뱅이들의 사연이 그렇고, 입신의 꿈을 안고 과거시험에 응시했던 선비들의 사연도 그렇다. 대처로 일보러 나간 지아비나 가족의 안위가 걱정돼 마중 나온 어머니들의 사연도 빼놓을 수 없다. 우리가 밟고 걷는 문경새재 길에는 그 사연들이 켜켜이 쌓이고 쌓여 오늘날의 길이 된 것이다.
예부터 영남에서 한양으로 가는 길을 영남대로라 했다. 한양과 부산 동래를 잇는약 380km의 이 길에는 높고 낮은 고개가 수없이 많았다. 그 중에서 가장 높은 고개가 문경새재였다. ‘새재’라는 이름은 ‘고개를 넘으려면 새조차 한번 쉬었다 가야할 만큼 높고 험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 다른 뜻으로 ‘새로운 고개’, ‘하늘재와 이화령 사이(새, 間)의 고개(岾)’라는 뜻도 있다. 어느 것이 옳고 그르냐를 따지는 일은 무의미해 보인다.
중요한 것은 조령산과 주흘산 사이에 있는 문경새재가 가장 험준하고 높은 고개였다는 점이다. 문경새재는 군사적으로 활용도가 매우 높았다. 임진왜란이 있기 전 새재에 성을 쌓아 방비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것도 그 같은 이유에서다. 하지만 그 의견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왜군은 문경새재를 힘겹게 넘어야 했지만 조선 관군의 저항은 없었다. 결국 영남대로를 수월하게 통과한 왜군은 파죽지세로 한양까지 진격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이 있다. 하지만 소를 잃고서라도 외양간을 제대로 고친다면 훗날 똑같은 실수는 범하지 않을 터. 임진왜란에서 왜군에게 호되게 당한 조선은 제2관문인 조곡관(1594년, 선조 27년)을 가장 먼저 세운다. 그 뒤를 이어 1708년 숙종 34년에 제3관문인 조령관과 제1관문인 주흘관이 차례로 세워진다.
영남에서 한양까지 가는 길이 문경새재만 있는 게 아니다. 죽령과 추풍령이 더 있었다.
그런데 한양으로 과거보러 가던 선비들은 유독 문경새재만을 고집했다고 한다. 죽령을 넘으면 죽죽 미끄러지고, 추풍령을 넘으면 추풍낙엽처럼 떨어진다는 속설 때문이다.
과거시험을 봐야 했던 선비입장에서는 설령 그 것이 속설이라 하더라도 따르고 싶었을 것이다. 게다가 문경새재의 문경(聞慶)은 ‘경사스러운 소식을 듣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었으니, 입신양명을 꿈꾸던 선비들에게 문경새재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 코스였던 것이다.

  • 1
  • 2
  • 3
  • 4
    1. 가을이 무르익고 있는 문경새재
    2. 문경새재 제1관문 주흘관
    3. 제2관문인 조곡관 앞에 놓인 조곡교
    4. 낙엽이 내려앉은 문경새재 과거길

선비, 문경새재 과거길에 오르다
험준한 문경새재 고갯길은 이제 누구나 찾고 싶고, 걷고 싶은 길이 되어 아름다운 옛길로 인기가 높다. 길 이름은 ‘문경새재 과거길’이다.
제1관문 주흘관을 출발해 제3관문 조령관을 돌아보고 되돌아오는 6.3km 구간이다. 은행나무 가로수 길을 따라 걸어가면 잔디마당 한가운데 옛길박물관이 있다. 기와를 이은 한옥풍의 건축물인데 규모가 상당히 크다. 1~2층 전시실에는 옛길을 테마로 각종 자료와 유물을 전시해 놓았다. 흔히 볼 수 없는 옛길과 관련된 자료들을 전시해 놓아 시간을 충분히 내어 돌아봐도 좋은 곳이다.
박물관을 뒤로하고 곧은 길을 따라 걸으면 ‘문경새재 과거길’이라 쓰인 비석 앞에 이른다. 비석은 길의 역사와 유명세를 고스란히 표현해 주듯 늠름하다. 그 뒤로 양팔을 넓게 펼친 모양의 성곽과 주흘관이 자리한다. 규모가 웅장하고 위용 있다. 크기가 일정한 화강암을 벽돌을 쌓듯 차곡차곡 쌓아 올린 모습에서 성의 견고함이 엿보인다. 주흘관은 문경새재 3개의 관문 중 가장 옛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 관문 뒤편 현판에는 ‘영남 제1관’이 적혀 있다. 2·3관문과 다른 점이 있다면 개울물을 흘려보내는 수구문(水口門)과 적의 침입을 방어할 목적으로 성 주위에 물로 둘러싼 해자(垓字)가 있다.
성안에 발을 들여서인지 이전과 달리 평온함이 몸과 마음을 감싸는것 같다. 안전이 확보됐다는 안정감이랄까. 이런 기분은 단지 성안에 있어서만은 아니다. 단단하게 다져진 황톳길에서 느껴지는 자연의 숨결 덕분이다. 길을 걸으며 흙의 질감을 느끼고 싶은 사람들은 신발까지 벗어 들었다. 길은 대여섯 명이 나란히 걸어도 될 만큼 널찍하고 또 완만하다.
몸도 마음도 편안하게 느릿느릿 걷기에 좋다. 대신 아기자기한 옛길의 정취를 느낄 수 없어 못내 아쉽다.

  • 5
  • 6
    5. 전후임 관찰사가 교인식을 가진 교귀정
    6. 고모산성에서 바라본 진남교반

반질반질 바윗길 따라 걷는 토끼비리
문경에는 옛길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길이 더 있다. 고모산성 오르는 길에 만나는 토끼비리가 그곳이다. 토끼비리는 영남대로에 포함된 길인데 가장 험한 구간으로 꼽힌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고려를 건국한 왕건이 남쪽으로 세력을 펼칠 때 이 구간에서 길이 막혀 진군하지 못하고 있었다. 때마침 토끼가 벼랑을 타고 도망가는 것을 보고 뒤따라가 남하했다고 해서 토끼비리라 불린다. ‘비리’는 경상도 사투리 ‘벼랑’을 뜻한다. 이름처럼 이 길은 ‘토끼 한 마리가 지나갈 정도로 좁은 벼랑길’이다. 길이 워낙 가파르고 위험천만해서 사람들이 바위를 갈고 파서 길을 놓았다. 하지만 100여년이 넘는 세월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오간 탓에 바위는 닳고 닳아 대리석처럼 반질반질 윤이 날 정도다.
위태로운 오솔길을 따라 500m 정도 더 오르면 고모산성에 도착한다.
산성 정상에 오르면 경북 8경 중 백미라 일컫는 진남교반 일대가 한눈에 펼쳐져 보인다.

TIP.

여행지별 정보

문경새재에서 맛봐야 할 별미로 약돌 돼지구이가 있다. 약돌 돼지는 약돌 거정석을 갈아 넣은 사료를 먹인 돼지고기에 고추장양념을 발라 숯불에 구워 낸다.
약돌 돼지는 식감이 쫄깃하면서 풍미가 깊은 것이 특징이다. 문경새재 초입에 위치한 마당 바위(054-571-6835)가 유명하지만 대부분 맛은 비슷하다.
- 문경새재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32 문경새재)
문의 054-571-0709
- 옛길박물관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44 옛길 박물관)
문의 054-550-8365
- 고모산성 (경북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문의 문경시 관광진흥과 054-550-6393

  • 홈으로
  • 상단으로

KoROAD 로고

KoROAD 로고

운전면허안내 콜센터 : 1577-1120
TBN한국교통방송 교통정보 안내 길눈이 콜 : 1644-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