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빗길
안전 운전을 위한 상식
-
장마철이 다가오고 있다. 빗길 운전은 시야가 흐려지고 수막현상으로 도로의
접지력이 떨어져 교통사고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빗길 도로에서 안전 운전을 하는 법에 대해 도로교통공단의 운전면허 학과시험 문제은행을 통해 알아본다.글. 편집실
-
1. 수막현상의 원인과 예방 대책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① 수막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핸들 조작의 결과는 평소와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② 새 타이어일수록 수막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③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접촉면이 좁을수록 수막현상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④ 수막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빗길에서 평소보다 감속하는
것이다. - 정답 ④ 수막현상이 발생하면 핸들 조작이 어렵고 새 타이어일수록 수막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또한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접촉면이 좁을수록 수막현상의 가능성이 낮다.
-
1. 수막현상의 원인과 예방 대책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
-
2. 빗길 교통사고의 경우 급제동으로 인한 중앙선 침범이나 도로
이탈 사고가 많다. 가장 직접적인 사고 원인으로 맞는 것은?① 차량의 전체 중량이 가장 큰 변수이다.
② 과속이 가장 큰 원인이다.
③ 내측 및 외측 바퀴의 하중(누르는 힘) 차이가 가장 큰 원인이다.
④ 핸들 조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 정답 ② 빗길 중앙선 침범 및 도로 이탈 사고의 가장 주요한 원인은 과속이다.
-
3. 이륜자동차가 빗길에서 고속 주행 중 앞차가 정지하는 것을 보고 급제동했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맞는 것은?
① 급제동 시에는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저항이 커져 미끄러지지 않는다.
② 빗길에서는 마찰력이 저하되어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③ 빗길에서는 마찰저항이 낮아 미끄러지는 거리가 짧아진다.
④ 건조한 노면에서보다 마찰저항이 커져 핸들 조작이 쉬워진다.
-
정답
②
이륜자동차가 빗길에서 고속 주행 중 앞차가 정지하는 것을 보고
급제동했을 때는 마찰력이 저하되어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
2. 빗길 교통사고의 경우 급제동으로 인한 중앙선 침범이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