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이 있는 풍경

교통역사 산책

  • 좋아요
HOME > 쉼이 있는 풍경 > 교통역사 산책

인간의 힘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자전거


‘인간 스스로의 힘으로 보다 편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는 없을까?’ 이 질문의 첫 번째 힌트는 수레에 달린 바퀴였다.
사람들은 오랜 경험을 통해 바퀴의 유용성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두 번째 힌트는 두 다리, 즉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동력원이었다.
‘만약 두 다리로 직접 바퀴를 굴린다면 어떨까?’ 자전거는 이러한 고민에서 탄생한 발명품이었다.

글. 이상우(문화평론가)

자전거의 원형, 드라이지네

인류는 오랫동안 이동을 위해 가축을 활용했다. 하지만 가축의 힘을 이용하는 건 꽤나 번거로운 일이었다. 일단 사람이 탈 수 있도록 길들 이는 과정이 필요했고, 그냥 마구간에 세워두더라도 먹이를 주고 돌봐야 했다. ‘인간 스스로의 힘으로 보다 편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는 없을까?’ 자전거는 이러한 고민에서 탄생한 발명품이었다. 자전거의 초기 형태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인물은 독일의 칼 드라이스였다. 그는 1817년 ‘드라이지네 Draisine ’라는 발명품을 만들었는데 이것은 오늘날 자전거의 원형이자 인간의 힘으로 움직이는 최초의 개인용 교통수단이 었다. 드라이스는 사륜마차의 바퀴를 작게 만들어 두 개를 앞뒤로 배열하고 이를 가로목으로 연결시킨 다음 그 가운데에 안장을 달았다. 탑승자는 상체를 세운 채 마치 걷거나 뛰는 것처럼 좌우로 땅을 번갈아 차면서 이 기구를 전진시킬 수 있었다. 요즘 아이들이 자전거를 배우기 전에 타는 밸런스 바이크와 유사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드라 이지네는 혁신적이긴 했으나 효율적인 운송수단은 아니었다. 페달이 없어서 두 발로 지면을 밀어야 전진할 수 있었고, 간혹 내리막길에서 가속할 수 있었지만 부상의 위험도 그만큼 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라이스의 아이디어는 유럽 각 지역에 퍼졌으며, 이는 훗날 페달을 장착한 자전거로 이어졌다.


보다 안전한 자전거로 진화하다

자전거 탄생의 핵심은 단순하면서 효율적인 구동장치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정지 상태의 자전거를 출발시켜서 균형을 유지하려면 단시 간에 속도를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피에르 미쇼는 앞바퀴에 크랭크와 페달을 장착해서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장치를 생각해냈고, 1867년 최초의 페달식 자전거 ‘미쇼딘 Michaudine ’를 만들었다. 이 자전거에는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이 달려 있었 으며, 페달을 거꾸로 밟으면 언제든지 멈출 수 있었다. 1870년대에는 앞바퀴가 크고 자체가 높은 ‘하이휠’이 유행했다. 의류 브랜드 ‘빈폴’ 에 새겨진 바로 그 자전거다. 커다란 앞바퀴가 비포장도로에서 노면의 충격을 흡수해 뛰어난 승차감을 제공했으나 안전에는 취약했다. 1885년에는 ‘로버 세이프티 자전거 Rover Safety Bicycle ’가 등장하면서 전 세계적인 자전거 붐을 일으켰다. 로버 자전거는 오늘날 자전거처럼 체인과 스프로킷 sprocket, 체인기어 을 이용해 뒷바퀴를 움직이는 방식으로, 방향 전환이 쉽고 안전해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 한편 영국의 존 보이드 던롭은 아들의 세발자전거를 고쳐주는 과정에서 1888년 공기 주입식 타이어를 발명했다. 던롭의 타이어는 노면의 다양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했고, 자전거의 안전성과 승차감을 획기적으로 높였 다. 체인과 타이어라는 혁신적인 기술 덕분에 자전거는 1890년대부터 본격적인 대중 교통수단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기술은 사회와 함께 움직인다

자전거의 역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드라이스의 첫 발명 이후 미쇼딘이 탄생할 때까지 약 50년 동안 기술적 진화가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 당시에는 이미 증기기관차가 등장했을 만큼 기계 기술이 발전한 시기였다. 페달이나 크랭크의 개념도 낯선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페달식 자전거는 1860년대 이르러서야 비로소 세상에 나타났다. 간단한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왜 사람들은 오랫동안 드라이지네에 페달을 적용하지 못했을까? 역사학자들은 그 이유를 대중들의 거부감 에서 찾는다. 초기 드라이지네는 언론으로부터 비웃음을 샀고, 거리 에서 괴롭힘을 당했으며, 평평한 보도에서는 법적으로 금지되었다. 이런 사회·문화적인 장벽이 결국 기술의 발전을 가로막았던 셈이다. 자전거의 탄생 과정은 아무리 기계적으로 훌륭한 탈 것이라도 사회 인프라와 대중의 심리적 저항감이 해결되지 않으면 확산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전기차, 수소차 등 새로운 친환경 이동수단이 등장한 오늘날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자동차
등록현황

운전면허
등록현황

공단 대표번호
안내

개인 정보 취급 및 이용 정책 Copytight 2017KoROA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