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 안전한 운행
- 교통안전리포트
-
편리함과
안전성을 생각하다
미래 교통환경을 준비하는 스마트 교통체계 도로표지는 교통안전과 원활한 흐름을 위한 약속이다.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에는 어떨까.
자율주행차 시대를 대비해 교통체계도 더욱 스마트해 지고 있다.
스마트 시티가 확대·도입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변화 중인 교통환경을 살펴본다.- 글. 편집실
자율주행차 시대, ITS 기술을 꽃피우다
2022년 자동차 업계의 화두는 자율주행차에 쏠려있다. 이미 자율주행 3단계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는 뉴스도 찾아보기 쉬워졌다. 자율주행차 시대가 말 그대로 코앞에 다가왔음을 실감하는 요즘이다.
자율주행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안전한 미래 교통환경의 초석을 다지는 중이다. 먼저 자율주행차가 운행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더욱 힘을 쏟고 있다. 그 중심에는 지능형 교통체계(ITS)가 있다. 지능형 교통체계는 교통시설 및 수단을 실시간 관리·제어하며,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수집·활용하는 미래형 교통체계로, 인공지능과 전자통신 시스템 등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도입됐다.
안전성 검증을 위해서도 만전을 기하는 중이다. 도로교통공단은 현재 강원도 횡성군에 미래형 모빌리티 검증단지(PG:Proving Ground) 구축을 준비하고 있다. 미래형 모빌리티 검증단지는 자율주행을 포함한 미래 모빌리티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한 공간이다. 올해 부지 설계 완료 후 내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경기도 화성시에는 자율주행 시범도시인 K-CITY가 운영 중이다.
국내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위한 실험 환경을 갖춘 테스트베드다. 출시를 앞둔 자율주행차는 이곳에서 실제 운전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하여 예행연습을 거치게 된다.
스마트한 미래 교통환경을 준비하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가장 큰 화두는 뉴노멀이다. 교통환경도 시대변화에 맞춰 새롭게 정립되고 있다. 신도시와 스마트시티 등 도심환경의 변화는 이러한 교통환경 변화를 더욱 가속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유비쿼터스도시(Ubiquitous City: U-City)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등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왔다. 현재 스마트시티 정책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건설, 스마트챌린지, 스마트도시형 도시재생사업 등이 다양하게 추진 중이다.
이에 더해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월, 기존 도시를 스마트시티로 탈바꿈하기 위한 ‘스마트챌린지’ 사업을 출범하고 진행에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다. 스마트시티 챌린지는 지역의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통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해 기존에 없던 스마트 기술·서비스를 도입해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국토부의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곳은 총 6곳으로 부산, 제주, 강릉, 광양, 서산, 원주 등이다.
특히 제주와 강릉은 대대적인 교통체계 개편이 이뤄진다.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와 공유모빌리티를 연계하는 스마트허브 모델로 거듭난다. 저장이 어려운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친환경 공유모빌리티를 충전하거나 산업·주거단지에 공급할 계획이다. 강릉은 시내 교통수단과 KTX 승차권, 개인형 이동장치를 통합한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역상권과 연계한 콘텐츠로 대중교통 혁신을 준비하는 중이다.
이렇듯 교통환경은 도시 접근성과 시민 생활의 편의성을 위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하는 부분이다. 변화에 발맞춰 국토교통부는 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도 전국적으로 확대 구축하는 추세다. 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은 교통체계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신호운영체계다. 비교적 복잡한 교차로 이용 시 원활한 흐름을 유지하고 사고 감소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감소시켜주는 ‘감응신호’와 위급 시 긴급자동차가 먼저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차 ‘우선신호’, 신호위반을 막아주는 ‘스마트 교차로’ 등이 전국적으로 설치된다.
이밖에도 전국의 각 지자체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시스템, 통합주차관제 플랫폼 구축 등 원활한 교통 흐름과 시민들의 편의를 위한 최신기술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구로구청
- 스마트 교통체계
미래 교통의 핵심은 보행자 안전
교통체계는 수도권과 같은 대도심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에서 발간하는 <월간교통>에 따르면, 가장 먼저 고급형 대중교통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개인형 이동장치의 확산과 함께 신도시 내부를 잇는 교통체계도 지역의 특성에 맞게 탄력적으로 구축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한, 수도권은 향후 몇 년 이내에 GTX(수도권 전역을 1시간 내에 연결할 수 있는 수도권광역 급행철도)로 인한 광역 교통체계 변화를 이룩할 것으로 예상된다. GTX가 도입되면 수도권 외곽 지역에서 출발하더라도 통행시간이 도심지에서 출발한 것과 큰 차이가 없게 된다.
친환경적인 도로 환경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국토교통부는 도로기술 연구를 위한 4대 핵심분야로 안전한 도로, 편리한 도로, 경제적 도로, 친환경 도로를 꼽으며 2030년까지 추진할 기술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러한 교통체계의 변화의 목표는 단 하나. 보행자 중심 교통 환경 구축이다. 새로 들어서는 신도시 계획에서는 보행안전을 위한 보행 환경 개선사업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편리한 대중교통 시스템은 물론, 자전거 도로와 주차문제 등 도심지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보행자의 안전과 이동의 편리함을 두루 갖춘 미래 스마트시티의 모습이 더욱 기대되는 이유다.
ⓒ솔라로드
- 2030 도로기술개발 전략 4대 핵심 분야 및 목표
- 참고자료
- <스마트지역(Smart Region) 해외사례 검토를 통한 국내 도입방안 연구> (배인성 국토연구원 전문연구원 저, 2021.02.)
- 한국교통연구원 <월간교통> (2021.02월호)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스마트시티 속도낸다…통합 스마트챌린지 출범’ (2020.01.17.)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접목해 안전하고 편리한 친환경 도로 만든다’ (2019.10.18.)